top of page
RPA 컨설팅
RPA 기획 컨설팅
RPA 프로세스 컨설팅
RPA 성과관리 컨설팅
초기 RPA 도입을 위한 역량수준 진단,전략적 추진과제 도출 및 액션플랜 수립
-
RPA 역량수준 진단
-
RPA 에 대한 이해 및 성공사례 분석
-
RPA 비전목표 설정
-
RPA 전략적 개선과제 도출
-
RPA 액션플랜 및 Pilot 계획
-
RPA 표준 솔루션 선정
전사 프로세스를 파악하여 자동화를 위한 프로세스를 식별하고 우선순위화
(필요시 Lean, 6시그마를 통한 BPR 병행)
-
전사 프로세스 파악
-
자동화 프로세스 식별
-
자동화 타당성 분석정
-
자동화 복잡성 평가 및 개발공수 산정
-
자동화 우선순위 선정
-
자동화 High Level 솔루션 디자인
-
자동화 Sprint Plan
-
프로세스 재설계(Lean 6시그마)
RPA 개발이후 자동화에 대한 성과측정을 통해 ROI를 분석하고, Best Practices발굴확산
-
RPA KPI 설계 및 대시보드 개발
-
RPA ROI 성과분석
-
RPA Best Practices 발굴 및 개발
-
RPA Best Practices 공유 및 확산
-
RPA 지속적 개선관리
-
직원에 대한 변화관리
CRM / CEM 컨설팅
CRM Clinic 서비스
현재 조직의 CRM 역량수준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성과중심의 전략적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전략적 개선과제별 개선방향을 수립 함
이제 기업들도 사람처럼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아
어디가 문제인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해야 함.
매년 사업계획 수립전에 Clinic 서비스를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 함.
[UBCNS의 CRM-HealthCheck 방법론- 10Building Blocks]
1.고객전략 부문 2.고객중심 가치제안개발 부문
3.인터페이스 채널부문 4.고객관리활동 부문
5.고객중심 프로세스 부문 6.고객중심 조직/인력부문
7. IT/DT 시스템 부문 8.Big Data/AI부문
9.고객중심 성과관리 부문 10.고객경험관리 부문
CEM 전략 수립
진정 고객의 입장에서 고객의 경험을 이해하고, 경쟁사 보다 차별화된 고객만족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브랜드 고객경험을 디자인하고 고객 관계관리 전략을 수립 함
고객의 여정단계별 고객경험을 공감하고 이해한 후에 고객의 가치와 니즈에 맞는 가치제안 전략 수립 필요
모든 사업전략 및 프로세스 혁신은 고객경험 개선을 목표로 해야 하며, 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전략 단계 임
[UBCNS의 Customer Journey Management방법론]
1.고객가치분석 및 타깃전략 (Persona)
2.고객경험 조사분석(Customer Journey)
3.고객군별 가치제안 전략 수립 (C-P-C)
4.고객 인터페이스 채널 전략 수립
5.고객 관계관리 활동 모델 디자인
02-2655-9898
"Service Factory"
"Service Factory 또는 Digital Service Factory"란? UBCSN가 서비스 산업의 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해 만들어낸 개념입니다. 제조공장은 일련의 프로세스 공정을 통해 동일한 가치의 제품을 동일하게 만들어 내고 있고, 프로세스 공정을 Big Data, 로봇등으로 자동화 함으로써 Smart Factory 개념을 실현해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 산업분야에서는 아직 막연하고 구체적인 방법론이 미흡한 실정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서비스 산업분야의 Dgital Transformation을 위하여 Service Factory 개념을 만들었고, 이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Digital Transformation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ervice Factory의 주요개념은 서비스 분야도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가치제안 프로세스가 표준화되고, 동일한 가치의 품질 보장을 위해 프로세스가 관리 되어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대개 서비스는 사람이 하는 일이다 보니 사람에 따라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이 다르고 고객에게 매번 상이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물론 브랜드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면서 개별적 니즈에 따라 차별화된 커스터마이징 전략하고는 다른 이야기 입니다. 이제는 서비스 상품을 생산하고 전달하는데에 RPA(SW Robot)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 Service Factory에 대한 강의요청 환영합니다.^^

"Digital Transformation"
어떻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응할 것인가?

과거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E-Business 개념이 들어오면서 많은 기업들이 CRM, EC, SCM,마켓플레이스 도입을 한창 진행한바 있습니다. 아직도 기업에는 E-Biz 조직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이제 2020년대 들어서면서 Digital Business 개념이 생기면서 많은 기업들이 Digital Transformation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Digital Business는 과거와 전혀 다른 새로운 산업혁명으로 위기와 기회를 함께 가지고 우리앞에 와 있습니다.
현재 시대가 지식정보화 사회라고 한다면, 다음시대는 데이터.인공지능시대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제 모든 어플리케이션이나 플랫폼은 Cloud로 올라가고, 데이터와 AI를 기반으로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여 비지니스 하는 시대로 옮아가고 있습니다.
지금 여러분들의 기업은 무엇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습니까?
"Digital Business 도입단계"
Digital Business 로 전환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Web을 통해 사람간의 정보를 유통하는 시스템 구축 2)기업의 가치체인 프로세스를 Web으로 연결하는 E-Business 시스템 구축 3)매스마케팅을 지양하고 1to1 Digital 채널을 통한 마케팅 시스템 구축 4)데이터 기반의 제품과 서비스를 통한 디지털 비즈니스 시스템 구축 5) 회사의 경영이 인공지능에 의해 완전 자동화 되어 가는 시스템 구축 입니다.
기업들은 조직의 환경에 맞는 Digital Business 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해야 합니다. 앞의 단계가 제대로 되지 않고 뒤의 단계를 바로 갈수는 없습니다. 그동안 해온 비즈니스의 기반 위에 하나씩 단계 수준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과거의 모든 것을 백지화하고 새로 그림을 그리는 것 Big Bang 방식은 매우 위험하고 비 효율적인 방식 입니다.
Agile을 통해 민척하고 반복적이며 지속적인 추진이 바람직 합니다.

"Digital Transformation 대상"
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한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느 기업 이나 현실세계에는 고객, 상품과서비스, 채널, 비즈니스 전략과 프로세스, 조직 및 인력, 성과관리 체계, 기업문화 등 존재합니다. 이러한 오프라인 상에서의 비즈니스 모델이 모든 것이 연결된 디지털 네트워크상에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이 필요합니다.
Digitization이란? 현실세계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컴퓨터가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을 의마하며, Digitalization은 기업의 가치체인 프로세스를 자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Digital Transformation은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새운 비지니스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bottom of page